의료폐기물 관리법 가이드 (의원·병원 필수)
2025-10-06
자료실 · 법규 시리즈 ⑧
의료폐기물 관리법 가이드 (의원·병원 필수)
감염 위험 폐기물은 반드시 분리·보관·위탁처리 해야 합니다. 주사기와 피 묻은 거즈 등은 전용 용기를 사용하고, 전용 보관실(밀폐·환기)이 필요합니다.
참조 이미지: 의료폐기물 전용 수거함 (기관 실정에 맞는 제품 사진으로 교체하세요)
목차
1) 의료폐기물 범위 요약
아래 예시는 의원·병원에서 흔히 발생하는 항목 중심입니다.
감염성(위험) 폐기물: 혈액·체액이 묻은 거즈/솜/패드, 사용한 주사기·주사바늘, 채혈·수술 시 발생한 오염 소모품, 미생물 배양 관련 폐기물 등
겸용 위험물: 날카로운 폐기물(바늘, 랜셋, 스칼펠 등) — 뚫림 방지 용기 필수
조직물·병리 계열: 생검 조직, 병리 표본 폐기 등은 누출 방지 밀폐가 가능한 전용 용기 사용
약품·화학물 잔여: 백신 바이알 등(규정에 따른 처리)
2) 전용 용기·포장 기준(핵심)
주사기·바늘·날카로운 폐기물 → 뚫림 방지(Puncture-proof) 단단한 용기에 즉시 투입, 가득 차기 전 밀봉 교체
피 묻은 거즈·솜·장갑 → 누출 방지 비닐백 + 전용 수거함 사용, 외부 표면 오염 금지
조직물/병리 → 밀폐·누출 방지 용기 사용, 내용물 표시
표시: 용기 외부에 배출 날짜, 배출 부서, 담당자를 기입하고 의료폐기물 경고 표지 부착
혼합 금지: 일반폐기물/생활폐기물과 절대 혼합 금지
3) 전용 보관실(밀폐·환기) 요건
밀폐·차단: 진료구역과 분리, 잠금 가능 출입문
환기: 기계 환기 또는 충분한 자연 환기 설비(악취·오염 확산 방지)
바닥·벽: 내구성·내수성 자재, 세척·소독 용이
표지판: “의료폐기물 보관실” 경고 표지 및 무단출입 금지
온·위치 관리: 장시간 방치 금지(수거 주기 준수), 고온·직사광선 피하기
분리 보관: 날카로운 폐기물·병리성 등 종류별 분리 보관
4) 배출 절차(표준 플로우)
분리: 발생 즉시 일반폐기물과 구분하여 전용 용기로 투입
표시: 용기 외부에 배출일/부서/담당자, 경고표지 부착
일시 보관: 전용 보관실에 안전 적치, 과적·파손 금지
위탁처리: 허가 받은 의료폐기물 처리업체에 정기 수거 의뢰
인계서(전자): 수거·운반·처리 인계명세(전자)를 발급·보관
기록 유지: 교육·점검표·수거 내역을 최소 보존기간 동안 보관
5) 현장 점검 체크리스트
항목 기준 점검 전용 용기 사용 바늘·거즈 등 종류에 맞는 전용 용기/수거함 사용 □ 표시·라벨 배출일·부서·담당자 기재, 경고표지 부착 □ 보관실 요건 밀폐·환기, 잠금, 내수성 마감, 경고 표지판 □ 수거 주기 과도한 장기 보관 금지, 정기 위탁 수거 □ 인계서 보관 전자 인계서 발급·보존(감사 대비) □ 교육·훈련 신규·정기 교육, 사고 대응 절차 숙지 □
6) 자주 적발되는 위반 사례
일반폐기물과 혼합 배출
바늘·랜셋을 뚫림 방지용기 미사용 상태로 배출
표시·라벨 누락 또는 내용물 불명확
전용 보관실 미비(밀폐·환기·잠금 부족)
인계서 미발급·미보관
장기 방치 및 과적, 파손된 용기 사용
7) FAQ
Q1. 주사기는 세척 후 일반폐기물로 버려도 되나요?
안 됩니다. 사용한 주사기·바늘은 항상 전용 뚫림 방지용기에 즉시 폐기해야 합니다.
Q2. 전용 보관실이 꼭 별도 방이어야 하나요?
실면적·동선에 따라 소형 의료기관은 전용 밀폐 보관구역을 확보하는 방식도 가능하나, 밀폐·환기·잠금 등 핵심 요건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.
Q3. 수거는 어느 업체에 맡기나요?
관할 지자체 허가(또는 신고)를 득한 의료폐기물 수집·운반·처리업체와 계약·정기 수거를 진행하세요.
8) 유의사항·면책(중요)
본 가이드는 현장 이해를 돕기 위한 요약이며, 지방자치단체 조례·고시·시설규모·진료과목에 따라 세부 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최신 법령·지침 확인 및 각 기관의 내부 규정과 처리업체 안내를 함께 준수하세요.
최종 업데이트: 2025-10-03